Chapter 2-2
블록체인이 적용된
SAL(Secure Acess Lock) 모듈 기술
●
●
●
임호정 | 전자부품연구원 책임연구원
개발목표시기 |
기술이전 가능 시기 (2021.6.) |
기술성숙도 (TRL) |
개발 전 | 개발 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TRL 4 | TRL 7 | ||||
결과물 형태 | HW-Module, Embedded SW (설명) 기존 상품 활용 외부 장착형 HW 모듈 제품형 1종, 내부 네트워크 와 도어락 인터페이스 무선 브리 지 제품형 1종으로 이루어진 통 합 제품형과 탑재된 S/W 모듈 솔루션(소스코드 형태) | 검증방법 | 자체검증, 파일럿 테스트 (설명) 블록체인 연동 자체 검증 및 테스트베드 구축 파일럿 테스트 완료 | ||
Keywords | 공유경제, 블록체인, 사물, 스마트 계약, 탈중앙 애플리케이션 Sharing Economy, Blockchain, things, Smart Contract, dApp | ||||
외부기술요소 | EOS.IO 블록체인 플랫폼 Open Source 사용 (설명) 블록체인 연동 Dapp 솔루션 기술을 통한 서비스 제공 기술 필요 | 권리성 | 특허, 설계도, SW (설명) 도어락 기반 서비스 구현 특허 및 HW설계도, SW 소스 |
* 스마트공장 관련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민관합동스마트추진단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으로 이관(2019.07.02)되었다.
** 본 내용은 임호정 책임연구원(☎ 031-739-7504, hlim@keti.re.kr)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***
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현재 개발 진행 및 완료 예정인 ICT R&D 성과 결과물을 과제 종료 이전에 공개하는 “ICT R&D 사업화를 위한 기술예고”를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바, 본 칼럼에서는 이를 통해 공개한 결과물의 기술이 전, 사업화 등 기술 활용도 제고를 위해 매주 1~2건의 관련 기술을 소개함
II. 기술의 개념 및 내용
1. 기술의 개념

- 스마트기기의 유/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사용자 인증과 사용자 접근제어
- 사용자 스마트기기와 SAL 모듈 간 디바이스 근접/원격 제어 및 고정 인터페이스 모듈

[그림 1] 기술개념도

[그림 2] SAL 모듈 블록다이어그램
III.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
1. 기술의 특성 및 성능

- Bluetooth는 외부 스마트기기와 SAL 모듈 간 통신, 2.0 이상 시리얼 인터페이스 모듈형 겸용 설계
- Ethernet & RS485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게이트웨이 간 통신, Ethernet은 10/100, RS232/485는 9600 baudrate 이상
2. 경쟁기술/대체기술 동향 및 현황

3. 우수성 및 차별성
4. 표준화 및 특허
경쟁기술 | 본 기술의 우수성/차별성 |
---|---|
- Share your world – USN(slock.it) |
- 기존 도어락 또는 제품 잠금 장치의 교체 없이 서비스 제공 - 저전력, 저가형 기술 |
4. 표준화 및 특허


IV.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
1.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


2. 제품화 및 활용 분야
활용 분야(제품/서비스) | 제품 및 활용 분야 세부내용 |
---|---|
공유 자전거 서비스 | - 자전거, 킥보드 등 이동체 공유 서비스 |
차량 공유 서비스 | - 차량 공유 서비스 |
숙박 공유 서비스 | - 숙박 공유 서비스 |
회의실 및 제품 공유 서비스 |
- 회의실 공유 서비스 - 회의를 위한 노트북, 빔프로젝트 등 제품 공유 서비스 |
룸, 비즈니스 센터, 회의실 등 공간 대여 서비스 | - 모텔, 호텔 등 룸, 비즈니스 센터, 회의실 공간 대여 서비스 |
V. 기대효과
1. 기술도입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

2. 기술사업화로 인한 파급효과


